본문 바로가기
1. 나/아들육아

다시 배우는 잔소리하는 방법

by NaYo 2022. 5. 17.
반응형

오늘도 어김없이 잔소리를 했다. 잔소리는 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기분 좋을 수가 없다. 계속 반복해서 메시지를 주지만 효과 없는 잔소리를 나도 하고 싶지가 않다. 아이가 잘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서 늘어놓는 이야기들이지만 정작 아이는 듣고 있지 않으니 나 혼자 화르르 타오르고 있다.

 

물론 남편에게도 잔소리 할 거리는 한가득이지만, 대부분 그냥 넘긴다. 남의 자식을 뭐라 하기 전에 내 자식만큼은 저리 키우지 말자라는 의지가 더 타올라서 나는 내 자식들에게만 잔소리를 한다.

쉽사리 잠오지 않는 밤 최민준의 아들 TV에서 잔소리 코칭법을 보게 되었다. 아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유튜브라 여자 엄마는 더욱더 신뢰를 하며 즐겨본다. 아이와 부모가 소통할 수 있는 잔소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1. 의미없는 잔소리

잔소리를 한다고 해서 고쳐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의무감으로 하는 잔소리 유형이다. 

이야기를 할 것이면 정확하게 하고, 하지 않을 것이라면 깔끔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

 

   - 하던 일을 멈춘다

   - 아이와 눈을 맞춘다

   - 정확한 기준을 정해서 이야기한다

 

 2. 과도한 잔소리

내가 지금까지 얼마나 참았는지, 네가 그동안 얼마나 나와의 약속을 어겼는지도 함께 표현하고 싶은 경우 과도한 잔소리가 될 확률이 높다. 아이에게 잔소리로 끝나지 않고, 아이는 과하게 말하는 엄마에게 반감을 느낄 수 있다.

 

   - 감정을 뺀다

   - 정확하고 담백하게 현재의 이야기만 한다

 

3. 심문하는 잔소리

아이가 잘못한 것이 있는지, 제 발 저린 것이 있는지, 진실을 이야기하는지 수사하듯 슬쩍 떠보는 질문으로 시작되는 잔소리 유형이다. 엄마는 뻔히 알고 있으면서도 증거를 감추고 뒤에서 음흉하게 물어봤다는 자체가 아이와의 신뢰를 깨버릴 수도 있다.

 

   - 아이를 쥐구멍으로 몰지 않는다

   - 아이가 행동 교정이 되도록 정확하게 이야기한다.

 

 

태어나서 나도 처음 엄마를 해보니까 엄마로서 항상 부족함을 느낀다. 나 역시 불완전한 사람이기에 꾸준히 반복해서 공부하고 다짐하고 반성하는 시간들이 필요한 것 같다. 

 

 

 

 

여자 엄마, 남아 아들 반복해서 공부하자

 

 

 

 

 

 

반응형

댓글